-
9-3: 나무 자르기Sorting 2018. 10. 25. 21:37
나무 자르기(cuttree.cpp)
문제
얼마전에 큰맘 먹고 새로운 절단기를 구입한 목수 윤성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.
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. 먼저, 윤성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.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. 그 다음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. 따라서,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,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. 예를 들어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, 15, 10, 17이라고 하자.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,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, 15, 10, 15가 될 것이고, 윤성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. (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)
목수 윤성이는 과유불급을 좌우명으로 삼고 있기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가져가려고 한다.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대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
입력
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윤성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000, 1 ≤ M ≤ 2,000,000,000)
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.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을 넘기 때문에, 윤성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. 높이는 1,000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출력
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대값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
4 7 20 15 10 17
예제 출력
15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Arrays;
import java.util.Comparato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cuttree {
/**
*
* 얼마전에 큰맘 먹고 새로운 절단기를 구입한 목수 윤성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.
*
* 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. 먼저, 윤성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.
*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.
* 그 다음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.
* 따라서,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,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.
*
* 예를 들어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, 15, 10, 17이라고 하자.
*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,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, 15, 10, 15가 될 것이고, 윤성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.
* (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)
*
* 목수 윤성이는 과유불급을 좌우명으로 삼고 있기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가져가려고 한다.
*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대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
*
*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윤성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000, 1 ≤ M ≤ 2,000,000,000)
*
*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.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을 넘기 때문에, 윤성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. 높이는 1,000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*
*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대값을 출력한다.
*
*
* @param args
*/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 line = br.readLine();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line);
int 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treeHeights[] = new int[N];
int 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line = br.readLine();
st = new StringTokenizer(line);
for (int i =0 ; i <N ; i++){
treeHeights[i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}
//sort in descending order.
quickSort(treeHeights);
// Arrays.sort(treeHeights);
// for (int i=0; i<N/2; i++){
// swap(treeHeights, i, N-i-1);
// }
// for (int i =0 ; i <N ; i++){
// System.out.print("tree: " + treeHeights[i]);
// }
// System.out.println();
int totalTree = 0;
int h = treeHeights[0];
while (true){
//try with cutter set to h.
for (int i=0; i< N; i++){
if (treeHeights[i] > h){
totalTree += treeHeights[i] - h;
} else{
break;
//since nothing will contribute to total tree height.
}
}
if (totalTree >= M){
System.out.println(h);
return;
} else {
totalTree = 0;
h--;
}
}
}
//sort in descending order
private static void quickSort(int[] arr) {
quickSort(arr, 0, arr.length-1);
}
private static void quickSort(int[] arr, int start, int end) {
if(start >= end) return;
int pivotElem = arr[(start+end)/2];
int index = partition(arr, start, end, pivotElem);
quickSort(arr, start, index-1);
quickSort(arr, index, end);
}
private static int partition(int[] arr, int start, int end, int pivotElem) {
//pick mid as pivot element.
int leftIndex = start;
int rightIndex = end;
while (leftIndex <= rightIndex){
while (arr[leftIndex]>pivotElem){
leftIndex++;
}
while (arr[rightIndex] < pivotElem){
rightIndex--;
}
if (leftIndex <= rightIndex){
swap(arr, leftIndex, rightIndex);
leftIndex++;
rightIndex--;
}
}
return leftIndex;
}
private static void swap(int[] arr, int a, int b){
int temp = arr[a];
arr[a] = arr[b];
arr[b] = temp;
}
}'Sor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-6: 두 용액 (0) 2018.10.25 8-6: Advanced 정렬하기 (0) 2018.10.25